반응형

1. 에러 로그

 - yarn을 사용하여 install 을 하다보면 다음과 같은 문구를 출력하며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PS D:\> yarn install
yarn install v1.22.22
[1/4] Resolving packages...
error Error: self-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at TLSSocket.onConnectSecure (node:_tls_wrap:1659:34)
    at TLSSocket.emit (node:events:517:28)
    at TLSSocket._finishInit (node:_tls_wrap:1070:8)
    at ssl.onhandshakedone (node:_tls_wrap:856:12)
info Visit https://yarnpkg.com/en/docs/cli/install for documentation about this command.
 
2. 해결 방법

 - 해당 문제는 SSL 인증서 문제로 인증서 검사를 진행하지 않겠다는 설정을 진행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yarn config set "strict-ssl" false
PS D:\> yarn config set "strict-ssl" false
yarn config v1.22.22
success Set "strict-ssl" to "false".
Done in 0.08s.

 

SSL 인증서 검사를 진행하지 않도록 한 이후 정상적으로 설치가 진행이 된다.

'Web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대용량 파일 업로드 설정  (0) 2022.08.18
Apache 2.4 설치 및 PHP 설치 구성  (0) 2019.09.17
반응형

설치는 docker 공식 사이트에 있는 내용 보고 진행 Docker

 

Install Docker Engine on Ubuntu

Jumpstart your client-side server applications with Docker Engine on Ubuntu. This guide details prerequisites and multiple methods to install Docker Engine on Ubuntu.

docs.docker.com

 

설치 이후 sudo 권한 없이 사용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조정

 

1. sudo usermod -aG docker [사용자계정]

2.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

3. docker 명령어 아무거나 쳐서 나오는지 확인

 

혹시나 권한 문제로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이 적용

 

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

 

이후 정상적으로 동작 하는지 확인 !

'Server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20.04 Docker 설치하기.  (0) 2021.09.07
반응형

우클릭 할때마다 빡이 쳐서 찾아서 기록 함

 

1. 윈도우 + r or CMD or PowerShell 실행

2. reg.exe add "HKCU\Software\Classes\CLSID\{86ca1aa0-34aa-4e8b-a509-50c905bae2a2}\InprocServer32" /f /ve

    실행

    기본상태로 돌아 갈때는

     reg.exe delete "HKCU\Software\Classes\CLSID\{86ca1aa0-34aa-4e8b-a509-50c905bae2a2}" /f

    실행

3. 작업관리자 실행 (콘트롤 + 쉬프트 + ESC)

4. 자세히 탭에서 explorer 작업 강제 종료 (explorer 프로세스 떠 있는건 다 종료)

     위 작업시 탐색기는 종료 되나 기타 다른 프로그램은 종료 되지 않음

5. 새 작업 실행 -> explorer 실행

 

위 explorer를 강제 종료 후 실행 하는 이유는 윈도우 재시작을 해야 위 사항이 적용 되는데 이걸 간략하게 재시작 했다라는

    느낌으로 registry에 있는 정보를 다시 로드 하게 하기 위함임

 

출처 : [쿨앤조이 팁 강좌 - Windows 11 우클릭 메뉴 이전 스타일로 원복하기 - 스캔]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Code 동기화  (0) 2020.01.02
윈도우 7 이상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방법  (0) 2019.01.25
티스토리 소스 테마 적용 기록  (0) 2018.04.11
Sql Server 2012 CPU Full....  (0) 2018.04.03
반응형

아래의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이브 온라인 실행시 마우스 커서가 흰색 박스처리 되는것을 볼 수 있다

업데이트 : Windows 11 Insider Preview 10.0.26058.1100 (ge_release)

 

이 경우 이전 버전으로 롤백 하면 정상적으로 표시 된다.

반응형

신규런처 참고 !!

각 계정별 설정에서 프로필 변경시 변경된 프로필로 적용됨.

구 런처와 동일하게 사용시에는 프로필 변경 하지 말고 사용하길 바람

 

Eve Online 사용자 설정 일괄 적용 방법

 

이브에서 사용자 설정과 관련된 부분은 비중이 매우 크다

왜냐 !

화면 구성은 사람마다 다 다른데 한사람이 한개의 클라이언트만 돌리지 않기 때문이다

다수개의 클라이언트를 돌릴경우 개별 클라이언트마다 오버뷰며 창 위치가 가지각색으로 나오면 짜증이 나기 마련....

이것을 하나의 사용자 기준으로 모두 일괄 적용 시켜주는 툴도 있다고는 하지만 솔찍히 툴까진 필요 없다

그냥 설정의 기준이 될 사용자의 설정 파일만 알면 파일만 바꿔서 적용 하는건 어렵지 않다

다만 경로 찾기가 어려울 뿐....

 

그래서 정리 해봤다.

일단 파일은 다음과 같이 준비 해보자

기준이 될 사용자를 로그인해서 모든 설정이 맞는지 확인 후 클라이언트를 종료 한다.

그리고 다음 경로로 찾아 들어 간다

 

맥 )

구 런처) /Users/"사용자명"/Library/Application Support/CCP/EVE/_users_janghyunnam_library_application_support_eve_online_sharedcache_tq_eve.app_contents_resources_build_tranquility/settings_Default

 

신규 런처 2024-02-08) /Users/"사용자명"/Library/Application Support/CCP/EVE/_users_janghyunnam_library_application_support_eve_online_sharedcache_tq_eve.app_contents_resources_build_tranquility/settings_(프로필명)

참고 - /Users/"사용자명" 안의 사용자명은 본인이 사용중인 계정의 명이며 내부의 Library 폴더는 기본적으로는 숨겨져 있음

          맥에서 숨김파일 볼때는 커맨드 + 쉬프트 + . 누르면 숨김파일 및 폴더를 볼 수 있고, 다시 눌리면 숨겨짐 

 

윈도우 ) 

구 공홈런처: C:\Users\USERNAME\AppData\Local\CCP\EVE\c_program_files_(x86)_ccp_eve_tranquility\settings_default

신규 공홈런처: C:\Users\USERNAME\AppData\Local\CCP\EVE\c_program_files_(x86)_ccp_eve_tranquility\settings_ (프로필명)

구 스팀런처: C:\Users\londh\AppData\Local\CCP\EVE\d_program_files_(x86)_steam_steamapps_common_eve_online_sharedcache_tq_tranquility\settings_default

신규 스팀런처: C:\Users\londh\AppData\Local\CCP\EVE\d_program_files_(x86)_steam_steamapps_common_eve_online_sharedcache_tq_tranquility\settings_ (프로필명)

윈도우 경로 출처 : 입겔 - Orbis2358 계정/캐릭터 설정 자동동기화 시키는법

 

계정/캐릭터 간 설정 자동동기화 시키는법 - EVE Online 갤러리

내가 어제 알트를 처음팠는데 설정 이 다 리셋된걸 보고파일 일일이 붙여넣는게 귀찮아서 그냥 설정파일끼리 자동으로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만들었슴.솔직히 이렇게 좋은 방법 알려주는데 추

gall.dcinside.com

 

이제 폴더까지 왔으면 내부에 있는 파일들을 싹다 뽑을꺼임

그런데 뽑기 이전에 내가 쓰는 계정을 전부 한번은 실행 하여 캐릭터 로그인까지 다 해야 한다.(중요하다)

무슨 파일들을 뽑느냐.

core_char_숫자.dat

core_user_숫자.dat

 

두개의 파일을 임시 폴더에 복사가 아니라 잘라내기로 옮기자

그리고 설정할 기준의 되었던 계정의 클라이언트를 실행 후 캐릭터 선택까지 해서 게임으로 들어간뒤 종료 !!!!

위에 설정의 기준이 될 계정의 클라이언트 실행이 매우 중요하다

 

왜 ? 우리는 위에 뽑아낸 파일에서 기준이 되는 계정 코드를 알아야 하기 때문, 그런데 코드는 우리가 찾아서 식별 할 수 없다.

그래서 위의 파일들을 임시 폴더로 이동 후 기준이 되는 계정을 실행해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게 하여 코드를 식별 하려는 것이다.

 

자 그럼 이제 해당 폴더에 새로운 파일이 생성 되었을거고, 해당 파일은 기준이 되는 계정의 코드다.

그러면 이제 이 코드를 어딘가에 기록을 하자.

그 후 임시 폴더로 이동했던 파일 중 동일한 파일만 복사 후 내가 쓸 클라이언트 수 만큼 복사해서 넣는다.

그리고 임시폴더에 복사 해놨던 파일들을 이름대로 변경하면 동일한 클라이언트 설정이 적용 될것이다.

이거 어렵지 않은데 말로 표한하니 은근 어렵다.

 

잘 모르겠으면 댓글 달아라 !

 

 

'Eve Onl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 Online Mouse Cursor White Box or not Transparent  (0) 2024.02.19
반응형

이번에 작업 중 실수로 Stash를 삭제함.......

 

이래 저래 찾아본 결과 삭제한 Stash도 복구가 가능해서 해당 내용으로 복구 진행 함

 

삭제된 Stash 목록 가져오기

git fsck --unreachable | grep commit | cut -d ' ' -f3 | xargs git log --merges --no-walk

삭제한 Stash 복구하기

git update-ref refs/stash commit_id -m "recoverd stash 1"

복구 했는데 안보일때

git update-ref refs/stash commit_id --create-reflog -m "recoverd stash 1"

 

나는 3번째 방법으로 진행했는데 이상 없이 잘 복구 됨

다행히 시간을 버리지 않게되었음

반응형

1. Homebrew 설치

2. Homebrew를 통해 flutter 설치

    2-A Android Studio 설치 및 실행

    2-B Android Cmd-line 설치 (Android Studio -> Settings -> Apperrance & Behavior -> System Settings -> Android SDK -> SDK Tools Tab -> Android SDK Command-line Tools (latest) 체크 후 apply

 

3. flutter doctor 실행

4. 필요한 추가 플러그인 설치 진행

 

Homebrew를 통해 Flutter설치시 Dart, Flutter sdk 설치 경로는 다음과 같음

dart -> /opt/homebrew/Caskroom/flutter/3.7.11/flutter/bin/cache/dart-sdk

flutter -> /opt/homebrew/Caskroom/flutter/3.7.11/flutter

 

신규 프로젝트를 Android Studio에서 실행시 위 SDK 경로를 설정 해 주어야 함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필요한 커멘드 (지속 추가)  (0) 2022.10.19
Mac 갑작스런 폴더 안보임  (0) 2022.08.24
반응형

1. 현재 열린 포트 확인

     sudo lsof -PiTCP -sTCP:LISTEN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Flutter 설치  (0) 2023.04.17
Mac 갑작스런 폴더 안보임  (0) 2022.08.24
반응형

일단 위의 Lifecycle를 이해 해야 함

여기서 asyncData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음

데이터를 SSR에서 가져온 뒤 처리 하기 때문에 괜찮지만 개발을 진행 하면서 계속 걸리는 문제는 항상 fetch임

 

최초 페이지가 열릴 경우에는 정상 동작 하지만 브라우저에서 새로 고침을 할 경우에는 문제가 생김

이는 데이터가 분명 다 불러 왔다고 했으나 CSR 쪽으로 반영이 안됨

 

결국 최종적으로는 fetchOnServer을 false 처리 하여 동작하는 것을 확인함

왜 정상 접근시와 새로고침시가 다르게 동작하는지 정확하게 파악 안됨 (2022-09-28 기준)

개발을 막 진행한 상황이고 일정이 있기에 우선적으로 넘어 가나, 추 후에는 다시 테스트를 해보고 다시 기록을 진행 해야 겠음

 

그 이외 데이터 관련 기록을 남김

 

fetch()와 fetch(context)의 차이

  fetch()는 this 사용가능, fetch(context)를 사용할 경우 nuxt 개체는 사용이 가능하나, this는 사용 불가

 

activated

  현재 fetchState의 timestamp와 query를 체크 하여 데이터를 다시 갱신할 지 말지를 결정 할 수 있음

  query의 경우에는 현재와 기존의 값을 받을 수 있도록 처리 하면 유용할듯

  일전에 현재와 기존의 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던걸 봤는데...다시 찾으면 기록 할 예정

'JavaScript > Nux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xtJS Axios 설정  (0) 2022.08.18
NuxtJs Axios  (0) 2022.08.18
반응형

M1을 구매하고 업무에 사용한지 약 6개월....

어느날 갑자기 DeskTop에 있던 모든 소스가 들어 있던 폴더가 사라졌다.

Finder에서 아무리 찾아도 안보이고, 그런데 프로젝트를 열어 보니 잘 열리더라....

그래서 터미널로 열어서 보니 폴더가 있다....

어느 순간 갑자기 폴더가 hidden 처리 되어 있더라....

그래서 기록 한다....

 

1. 숨김처리 된 폴더 및 파일 보기

     command + shift + .

     위 커맨드를 osx의 바탕화면에서 눌리면 숨김처리된 폴더 및 파일들이 보인다.

      굳이 바탕화면에서 안눌러도 된다.

 

2. 숨김처리 해제

     아무리 찾아봐도 Finder 상에서는 해제 할 수 있는 방법이 보이지 않더라....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 하면 된다.

      chflags nohidden [폴더 또는 파일명]

     실제 해보니 hidden은 사라진다.

     그런데 여전히 숨겨져 있다....

     모르겠다....ㅅㅂ

     폴더나 파일을 숨기고 싶으면 nohidden을 hidden으로 바꾸고 하면 된다.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Flutter 설치  (0) 2023.04.17
Mac 필요한 커멘드 (지속 추가)  (0) 2022.10.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