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 7 이상의 경우 로컬 ID를 사용할 경우 패스워드를 변경 할 수 있다.
방법은 어렵지 않으며 쉽게 할 수 있다.
다만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할 경우는 불가능 하다
준비물
- 윈도우 설치 USB
방법.
1. 윈도우 설치 USB로 설치 모드로 진입
2. 설치 모드 진입 후 최초 화면에서 Shift + F10을 눌러 콘솔창 실행
3. 기존 윈도우 설치 드라이브 진입 후 아래 명령을 순서대로 입력
(아래 명령은 C 드라이브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임)
- copy c:\windows\system32\sethc.exe c:\
- copy c:\windows\system32\cmd.exe c:\windows\system32\sethc.exe
4. 위 명령을 실행한 후 재시작
5. USB 부팅이 아닌 일반 윈도우 부팅으로 시작
6. 로그인 화면에서 Shift키를 5회 빠르게 눌림
7. 콘솔창이 떳을 때에 아래의 명령으로 패스워드 변경
- net user 로그인ID 변경할 패스워드
8. 변경 후 로그인 확인 후 다시 USB로 부팅하여 2번까지 진입
9. 3번의 첫번째 명령을 실행 하여 원상태로 돌려 놓기
10. 정상부팅하여 사용
위 방법은 Shift를 5회 연속 눌릴경우 로그인 화면에서도 고정키 모드를 실행 할 수 있다는 하나의 구멍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기존 고정키 프로그램 실행 파일을 콘솔 실행 파일로 변경하여 로그인 화면에서 콘솔화면을 실행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임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11 우 클릭 예전으로 (0) | 2024.07.17 |
---|---|
Visual Studio Code 동기화 (0) | 2020.01.02 |
티스토리 소스 테마 적용 기록 (0) | 2018.04.11 |
Sql Server 2012 CPU Full.... (0) | 2018.04.03 |